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IT]백본(Backbone,빽본)이란?

IT

by Admimistrator 2024. 7. 10. 15:14

본문

728x90
반응형
반응형

IT 업무를 하다 보면 네트워크 통신 상에 문제가 있을 때 간혹 ‘백본(빽본) 부터 확인해봐!’

라는 말을 듣곤 합니다. 백본이 대체 뭐길래 그러는걸까요?

 

 

💡 Backbone(백본) 네트워크는 Internet Backbone Network 를 의미합니다. 다양한 네트워크를 연결하고 데이터 전송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핵심 구조입니다. 주로 대규모 데이터 전송과 고속 네트워크 연결을 지원하며,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ISP), 기업, 데이터 센터 및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자가 사용하는 중요한 네트워크 구성 요소입니다. 즉, 네트워크의 모든 이동 경로를 담당하는 장비입니다.

 

주요특징

  1. 고속 전송 : 백본 네트워크는 고속 데이터 전송을 지원하여, 네트워크의 말단에서 발생하는 데이터를 빠르게 전달할 수 있습니다. 이를 위해 고속 이더넷, 광섬유 케이블 등 최신 전송 기술을 사용합니다.
  2. 대용량 처리 : 대규모 데이터를 동시에 처리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고 있어, 네트워크 트래픽이 많은 환경에서도 안정적으로 운영 됩니다.
  3. 연결성: 다양한 지역 네트워크(LAN)와 광역 네트워크(WAN)를 연결하여, 여러 지점 간의 데이터 통신을 가능하게 합니다. 전 세계적으로 데이터를 전달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4. 중앙 허브 역할: 백본은 여러 네트워크의 중심 허브로서, 데이터가 여러 지점 사이를 효율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출처:Cisco

구성요소

  • 백본 라우터(Backbone Routers):
    • 네트워크의 중심에서 데이터 패킷을 고속으로 라우팅합니다.
    • 고성능, 고용량의 라우터가 필요하며, 주로 Cisco, Juniper 등의 기업에서 제조합니다.
  • 백본 스위치(Backbone Switches):
    • 데이터 패킷을 네트워크 내에서 신속하게 전달합니다.
    • 스위칭 용량이 크고, 네트워크 트래픽을 효율적으로 관리합니다.
    • 주로 Cisco, HPE, Arista Networks 등의 제품이 사용됩니다.
  • 광섬유 케이블(Fiber Optic Cables):
    • 대용량 데이터를 고속으로 전송하기 위해 광섬유 케이블이 사용됩니다.
    • 손실이 적고, 긴 거리에서도 데이터 전송 속도가 빠릅니다.
  • DWDM(Dense Wavelength Division Multiplexing) 장비:
    • 여러 광파장을 하나의 광섬유로 전송하여 대역폭을 극대화합니다.
    • 장거리 전송에 주로 사용되며, 대규모 데이터 센터와 ISP 간의 연결에 사용됩니다.
    • 비용적인 부분으로 인해 WDM(Wavelength Division Multiplexing) 장비를 사용하는 경우가 일반적입니다. 중단 거리 통신에 사용되며 비교적 적은 수의 채널을 요구하는 분야에 적합합니다.
  • 광 중계기(Fiber Optic Repeaters):
    • 신호 감쇠를 방지하기 위해 광섬유 케이블의 중간에 설치되어 신호를 증폭합니다.
  • 전송 장비(Transmission Equipment):
    • 데이터 트래픽을 최적화하고 전송 품질을 보장하기 위한 다양한 장비들이 포함됩니다.
     

간단한 이미지로 만들어서 잘 이해가 안되실 수 있겠지만,

위의 이미지와 같이 백본은 네트워크 단에서 척추(백본)의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네트워크 통신에 문제가 생긴다면 백본과의 통신이 잘되는지 확인하는 것 이겠죠

백본에 문제가 생길 경우 전체 시스템에 장애가 생기기 때문에 보통 이중화로 설치하는 것이 기본이지만 소규모 환경의 경우는 단일로 구성되어 있을 수도 있습니다.

결론

백본 네트워크의 고속 전송과 대용량 처리 능력은 최신 기술과 장비를 활용하여 데이터의 효율적이고 안정적인 전송을 보장합니다. 고속 이더넷, 광섬유 케이블, 네트워크 프로토콜 최적화, DWDM 기술 등을 통해 고속 전송을 실현하며, 고성능 라우터와 스위치, 분산 처리 구조, 로드 밸런싱, 고급 캐시 및 버퍼링 등을 통해 대용량 데이터를 처리합니다. 이러한 기술과 장비의 조합은 백본 네트워크의 성능을 최적화하고, 대규모 네트워크 환경에서도 안정적인 운영을 보장합니다.

728x90
반응형

'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IT]RSA알고리즘이란?  (0) 2024.07.18
[IT]시크릿모드는 얼마나 안전할까?  (1) 2024.07.12
Iptables 란?  (0) 2024.07.09
[Network]도스와 디도스? What is DoS/DDoS  (0) 2024.07.08
[Network]OSI 7 Layer란? What is OSI 7 Layer?  (0) 2024.07.08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