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HDD vs SSD 저장장치

IT

by Admimistrator 2024. 5. 14. 13:19

본문

728x90
반응형
반응형

💡 컴퓨터의 보조 저장장치의 역할과 종류 저장장치는 컴퓨터의 각종 데이터를 쌓아두는 창고 역할을 하는데 각 저장장치의 특성을 알아보겠습니다.

 

HDD(Hard Disk Drive) :

동작 방식

데이터를 저장하고 검색하기 위해 함께 구동하는 여러 개의 기계 부품이 있습니다.

HDD 디바이스 내부에는 자기 코팅이 적용된 회전 플래터가 있습니다.

각 플래터에는 세그먼트라는 트랙 또는 동심원이 있는데 각 트랙 및 섹터 번호별로 HDD 기술에서 데이터를 구성하고 찾는 데 사용되는 고유한 주소가 생성 됩니다.

HDD는 모터로 읽기/쓰기 **[헤드]**가 있는 내부 액추어에터 암을 회전 시킵니다.

그로 인해 자기코팅된 플래터에 정보를 기록하고 검색합니다.

HDD는 부품이 움직여야하고 진동 및 높은 온도가 항상 잠재적 문제라고 할 수 있습니다.

SSD(Solid State Drive) :

 

동작방식

SSD는 데이터를 저장하고 검색하는 다양한 직접 회로로 구성된 비휘발성 플래시 메모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 비휘발성 플래시 메모리 : 전원이 끊겨도 데이터를 보존하는 특성을 가진 반도체로써 전기적인 방법으로 정보를 자유롭게 입출력할 수 있으며, 전력소모가 적고 고속프로그래밍이 가능

SSD는 실리콘으로 만들어진 기본 상호 연결된 플래시 메모리 칩에 데이터를 읽고 씁니다.

이 칩은 플로팅 게이트 트랜지스터를 사용하여 전하를 유지하므로 SSD가 전원에 연결되지 않은 경우에도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습니다.

장점 SSD 구성 방식에 따라 여러 장점이 존재합니다.

  1. 데이터 임의 접근 속도가 빠르다
  2. 자기장으로부터 안전하다
  3. 소음이 적다
  4. 소비 전력이 적다
  5. 작고 가볍다
  6. 충격에 강하다.
  7. 발열이 적다(2.5인치 SATA)

단점

  1. 용량 대비 가격이 비싸다.
  2. 발열이 심하다(mSATA , M.2 SATA/NVMe)
  3. 전기적/논리적 오류 시 데이터 파손 위험이 더 크다.
  4. 전력이 장기간 공급되지 않을 시 데이터 소실 가능성이 높다.

HDD vs SSD

구분 HDD SSD

작동방식 기계적으로 작동하는 자기 플래터에 데이터를 저장 전자 회로에 데이터를 저장
읽기 프로세스 I/O 컨트롤러가 액추에이터 암을 구동하도록하고 읽기/쓰기 헤드가 전하를 읽음 올바른 주소를 찾아가 전하를 읽어옴
쓰기 프로세스 읽기/쓰기 헤드를 사용 가능한 가장 가까운 위치로 이동하여 해당 영역의 비트 전하를 변경하여 데이터 쓰기 새 블록에 데이터를 복사한 다음 이전 블록을 지우고, 전하를 변경하여 이전 블록에 새 데이터를 쓰기
성능 속도가 느리고 더 많은 열을 방출하여 소음 발생 빠르고 조용하며 작동시 발열이 상대적으로 적음
비용 대용량 스토리지로 가격이 저렴 용량 대비 가격이 비쌈
내구성 구동 기계 부품이 있어 상대적으로 내구성이 떨어짐 전기식 구동으로 손상 가능성이 적어 내구성이 좋음

 

728x90
반응형

'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Network]Switch 란?  (0) 2024.06.17
[Linux]bash_history를 이용한 명령어 모니터링  (0) 2024.05.21
[Network] 패킷 Flags란?  (0) 2024.05.03
[네트워크]패킷 헤더가 뭘까?  (0) 2024.05.02
[IT]DRM이란?  (0) 2024.04.18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