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컴퓨터의 보조 저장장치의 역할과 종류 저장장치는 컴퓨터의 각종 데이터를 쌓아두는 창고 역할을 하는데 각 저장장치의 특성을 알아보겠습니다.
동작 방식
데이터를 저장하고 검색하기 위해 함께 구동하는 여러 개의 기계 부품이 있습니다.
HDD 디바이스 내부에는 자기 코팅이 적용된 회전 플래터가 있습니다.
각 플래터에는 세그먼트라는 트랙 또는 동심원이 있는데 각 트랙 및 섹터 번호별로 HDD 기술에서 데이터를 구성하고 찾는 데 사용되는 고유한 주소가 생성 됩니다.
HDD는 모터로 읽기/쓰기 **[헤드]**가 있는 내부 액추어에터 암을 회전 시킵니다.
그로 인해 자기코팅된 플래터에 정보를 기록하고 검색합니다.
HDD는 부품이 움직여야하고 진동 및 높은 온도가 항상 잠재적 문제라고 할 수 있습니다.
동작방식
SSD는 데이터를 저장하고 검색하는 다양한 직접 회로로 구성된 비휘발성 플래시 메모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SSD는 실리콘으로 만들어진 기본 상호 연결된 플래시 메모리 칩에 데이터를 읽고 씁니다.
이 칩은 플로팅 게이트 트랜지스터를 사용하여 전하를 유지하므로 SSD가 전원에 연결되지 않은 경우에도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습니다.
장점 SSD 구성 방식에 따라 여러 장점이 존재합니다.
단점
구분 HDD SSD
작동방식 | 기계적으로 작동하는 자기 플래터에 데이터를 저장 | 전자 회로에 데이터를 저장 |
읽기 프로세스 | I/O 컨트롤러가 액추에이터 암을 구동하도록하고 읽기/쓰기 헤드가 전하를 읽음 | 올바른 주소를 찾아가 전하를 읽어옴 |
쓰기 프로세스 | 읽기/쓰기 헤드를 사용 가능한 가장 가까운 위치로 이동하여 해당 영역의 비트 전하를 변경하여 데이터 쓰기 | 새 블록에 데이터를 복사한 다음 이전 블록을 지우고, 전하를 변경하여 이전 블록에 새 데이터를 쓰기 |
성능 | 속도가 느리고 더 많은 열을 방출하여 소음 발생 | 빠르고 조용하며 작동시 발열이 상대적으로 적음 |
비용 | 대용량 스토리지로 가격이 저렴 | 용량 대비 가격이 비쌈 |
내구성 | 구동 기계 부품이 있어 상대적으로 내구성이 떨어짐 | 전기식 구동으로 손상 가능성이 적어 내구성이 좋음 |
[Network]Switch 란? (0) | 2024.06.17 |
---|---|
[Linux]bash_history를 이용한 명령어 모니터링 (0) | 2024.05.21 |
[Network] 패킷 Flags란? (0) | 2024.05.03 |
[네트워크]패킷 헤더가 뭘까? (0) | 2024.05.02 |
[IT]DRM이란? (0) | 2024.04.18 |